평생학습 도시란?
지역 시민들에 대한 평생교육 서비스를 활성화하기 위하여 교육부(전 교육인적자원부)에 의해 선정된 도시를 말합니다.
평생학습도시의 목적은 평생교육기관 간의 네트워크를 구축하고, 지역 주민들에게 다양한 학습 프로그램을 개발 및 제공함으로써 지역의 평생학습을 활성화하는 것입니다.
그리고 평생학습에 관한 요구조사 및 연구 등을 통해 평생학습 관련 정책을 개발하고, 다양한 평생교육 시설 및 단체를 연결하는 지역평생교육 컨트롤타워 역할을 수행하는 것입니다.
광산구 평생학습도시 지정 : 2006년
비전과 목표
상생과 혁신의 교육 도시 광산
배움으로 함께 소통하고 나누는 학습공동체 실현
전략
Place
학습 공간의 변화

강의실에서마을과 현장속으로
PeoPle
학습자의 변화

수동적인 교육 수혜자에서능동적인 교육 활동가로
Public
행정의 변화

행정주도에서행정지원으로
전략과제 및 추진과제
경력단절 시민들의 자기개발과 사회경제활동 참여를 지원!
꿈에 뽀짝! 지도사 과정 운영
꿈에 뽀짝 지도사 과정은
전업주부 및 경력단절 여성들이 직업적 역량을 갖추도록 민간전문자격을 취득할 수 있는 다양한 직종의 지도사 과정을 운영하여 자격증을 취득하고 학교 방과후 강사 등 마을 교육기관에 강사 활동을 할 수 있게 연계하는 사업입니다.
2013년부터 운영하여 매년 기초와 심화 과정을 120회 운영하여 3,088명이 수료하였고 380여명이 관내 500여 기관에 재능기부 또는 강사 활동을 통해 배움의 선순환, 마을과 함께하는 三樂공동체(나의 삶이 즐겁고, 내가 즐거우니 가족이 행복하고, 또 배움의 성과를 이웃과 나누니 마을 전체가 활력이 넘침) 평생학습을 이뤄내고 있습니다.

꿈에 뽀짝 지도사 과정
- 기간 : 매년 3. ~ 12. (상·하반기 운영)
- 대상 : 성인
- 장소 : 과정별 상이
- 문의 : 평생학습팀 ☎062-960-8285
원플러스원 강사지원
- 2024. 10. ~ 12.
- 내 용 : 꿈에 뽀짝 지도사 과정을 수료한 학습자가 학습내용을 활용해 전문가로서 성장할 수 있는 계기를 마련하고 지역사회에 재능을 환원하는 기회제공
교육과정 운영기관 및 민간자격관리자(자격 발급자) 정보
교육과정운영기관 정보
구분 | 과정 ※자격기관 |
교육일정 | 교육장소 | 교육대상 | 주/보조강사 교재·응시비 |
---|---|---|---|---|---|
12개 과정 |
254명 | ||||
상반기 |
6개 과정 |
136명 | |||
실버인지놀이지도사(2급)
|
3.20.~7.3.(15회) 월 10:00~13:00 |
모아모아행복학습센터 (지혜나루,신명나루) |
28명 |
강명임/김진순 응시비 5만원 |
|
토의·토론&책놀이지도사(초급)
|
3.20.~7.3.(15회) 월 10:00~13:00 |
월곡1동행정복지센터 (2층 주민자치방) |
22명 |
김유정,최금미/정진희 응시비 5만원 |
|
진로·학습코칭지도사(초급)
|
3.21.~7.4.(15회) 화 10:00~13:00 |
첨단도서관 (2층 시청각실) |
22명 |
최금미,김유정 응시비 5만원 |
|
미술심리상담지도사(기초)
|
3.21.~7.4.(15회) 화 10:00~13:00 |
장덕도서관 (3층 다목적실) |
19명 |
나은정/김경아 응시비 7만원 |
|
전래놀이&세계놀이문화융합
|
3.22.~6.28.(15회) 수 10:00~13:00 |
광산문화원 (3층) |
31명 |
전영숙/박진희 응시비 5만원 |
|
방과후 로봇코딩 지도사
|
3.23.~6.15.(10회) 목 10:00~12:00 |
혜윰마루작은도서관 (월곡2동 행정복지센터 3층) |
14명 |
박종석 교재 10만원/응시8만원 |
|
하반기 |
6개 과정 |
118명 | |||
실버인지놀이지도사(1급)
|
9.4.~12.18.(15회) 월 10:00~13:00 |
모아모아행복센터 (지혜나루,신명나루) |
24명 (’23. 초급 수료) |
강명임/김진순 응시비 5만원 |
|
토의·토론&책놀이지도사(고급)
|
9.4.~12.18.(15회) 월 10:00~13:00 |
월곡1동행정복지센터 (2층 주민자치방) |
14명 (’23. 초급 수료) |
김유정,최금미/정진희 응시비 5만원 |
|
진로·학습코칭지도사(고급)
|
9.5.~12.19.(15회) 화 10:00~13:00 |
첨단도서관 (2층 시청각실) |
18명 (’23. 초급 수료) |
최금미,김유정 응시비 5만원 |
|
미술심리상담지도사(2급)
|
9.5.~12.19.(15회) 화 10:00~13:00 |
장덕도서관 (3층 다목적실) |
18명 (’22. 초급 수료 7명, 23. 초급 수료 11명') |
나은정/김경아 응시비 7만원 |
|
전래놀이&세계놀이문화융합
|
9.13.~12.13.(15회) 수 10:00~13:00 |
모아모아행복센터 (지혜나루,신명나루) |
24명 (’23. 기초·심화 수료) |
전영숙/박진희 응시비 5만원 |
|
신규방과후 로봇코딩지도사
|
9.21.~12.14.(12회) 목 10:00~13:00 |
혜윰마루작은도서관 (월곡2동 행정복지센터 3층) |
20명(신규모집) |
박종석 교재 10만원/응시8만원 |
※ 해당 자격의 교육과정운영기관(광고주)과 자격관리(발급)기관은 서로 별개임을 안내 드립니다.
자격 및 자격운영기관 정보
기관명 | 광산구청 | 연락처 | 062-960-8285 | 소재지 | 광주광역시광산구광산로 |
---|---|---|---|---|---|
대표자 | 박병규 | 이메일 | 363off@korea.kr | 홈페이지 | https://edu.gwangsan.go.kr |
※ 해당 자격의 교육과정운영기관(광고주)과 자격관리(발급)기관은 서로 별개임을 안내 드립니다.
자격명 | 실버인지놀이지도사 2급 | 자격의 종류 | 등록민간자격 | ||
---|---|---|---|---|---|
등록번호 | 2019-005600 | 자격발급기관 | 배움나눔교육네트워크협동조합 | ||
총비용 (세부내역) |
총비용 : 2급5만원 / 1급10만원
|
환불규정 |
|
||
기관명 | 배움나눔교육네트워크협동조합 | 연락처 | 010-9998-2139 | 소재지 | 광주광역시 서구 화개1로24번길 10 |
대표자 | 강명임 | 이메일 | ttary2@hanmail.net | 홈페이지 |
자격명 | 토의·토론지도사2급 -토의·토론&책놀이지도사과정- |
자격의 종류 | 등록민간자격 | ||
---|---|---|---|---|---|
등록번호 | 2022-001612 | 자격발급기관 | 에듀인인재개발아카데미 | ||
총비용 (세부내역) |
총비용 : 각 5만원
|
환불규정 |
|
||
기관명 | 에듀인인재개발아카데미 | 연락처 | 062-961-4727 | 소재지 | 광주 서구 시청로56번길 8, 701 |
대표자 | 김유정 | 이메일 | yujeong7543@naver.com | 홈페이지 |
자격명 | 직업진로코칭지도사 2급 - 진로학습코칭지도사과정- |
자격의 종류 | 등록민간자격 | ||
---|---|---|---|---|---|
등록번호 | 2017-001611 | 자격발급기관 | 에듀인인재개발아카데미 | ||
총비용 (세부내역) |
총비용 : 각 5만원
|
환불규정 |
|
||
기관명 | 에듀인인재개발아카데미 | 연락처 | 062-961-4727 | 소재지 | 광주 광산구 임방울대로 356 |
대표자 | 김유정 | 이메일 | yujeong7543@naver.com | 홈페이지 |
자격명 | 미술심리상담사 | 자격의 종류 | 등록민간자격 | ||
---|---|---|---|---|---|
등록번호 | 2013-2467 | 자격발급기관 | 한국상담교육원 | ||
총비용 (세부내역) |
총비용 : 7만원
|
환불규정 |
|
||
기관명 | 한국상담교육원 | 연락처 | 062-651-9244 | 소재지 | 광주광역시 남구 대남대로 274-12 |
대표자 | 이현아 | 이메일 | sibang65@hanmail.net | 홈페이지 | www.○○○.com |
자격명 | 학습코칭지도사 3급 -독서하브루타학습코칭지도사과정- |
자격의 종류 | 등록민간자격 | ||
---|---|---|---|---|---|
등록번호 | 2014-3471 | 자격발급기관 | 사단법인 한국역사문화협회 | ||
총비용 (세부내역) |
총비용 : 6만원
|
환불규정 |
|
||
기관명 | 사단법인 한국역사문화협회 | 연락처 | 062-266-6479 | 소재지 | 광주 북구 군왕로 123 |
대표자 | 장화용 | 이메일 | cas609@hanmail.net | 홈페이지 |
자격명 | 전래놀이전문강사(2급,1급) | 자격의 종류 | 등록민간자격 | ||
---|---|---|---|---|---|
세계놀이문화융합지도사(2급,1급) | |||||
등록번호 | 2018-002432(전래) | 자격발급기관 | 전통놀이다문화교육연구소다놂 | ||
2018-002430(세계) | |||||
총비용 (세부내역) |
총비용 : 2급 5만원 / 1급10만원
|
환불규정 |
|
||
기관명 | 전통놀이다문화교육연구소다놂 | 연락처 | 010-9626-2277 | 소재지 | 광주 북구 북문대로 242번길 9, 3층 |
대표자 | 전영숙 | 이메일 | dreamys9343@naver.com | 홈페이지 |
자격명 | 구글 공인 교육 전문가 Lv1 | 자격의 종류 | 국외민간자격 | ||
---|---|---|---|---|---|
등록번호 | 자격발급기관 | Google for education | |||
총비용 (세부내역) |
총비용 : 10 $
|
환불규정 |
|
||
기관명 | Google for education | 연락처 | https://edu.google.com/intl/ALL_kr/contact/ | 소재지 | 1600 Amphitheatre Parkway in Mountain View, California, United States. |
대표자 | 이현아 | 이메일 | https://edu.google.com/intl/ALL_kr/contact/ | 홈페이지 | https://edu.google.com/intl/ALL_kr/for-educators/certification-programs/product-expertise/?modal_active=none |
자격명 | 체인지메이커교육지도사 | 자격의 종류 | 등록민간자격 | ||
---|---|---|---|---|---|
등록번호 | 2022-000161 | 자격발급기관 | 에듀인인재개발아카데미 | ||
총비용 (세부내역) |
총비용 : 5만원
|
환불규정 |
|
||
기관명 | 에듀인인재개발아카데미 | 연락처 | 062-961-4727 | 소재지 | 광주광역시 서구 시청로56번길 8 |
대표자 | 김유정 | 이메일 | yujeong7543@naver.com | 홈페이지 |
자격명 | 로봇코딩지도사 1급 (로봇코딩지도사과정) |
자격의 종류 | 등록민간자격 | ||
---|---|---|---|---|---|
등록번호 | 2018-005553 | 자격발급기관 | 대한민국청소년로봇연맹 | ||
총비용 (세부내역) |
총비용 : 8만원
|
환불규정 |
|
||
기관명 | 메이킹 | 연락처 | 070-8803-1553 | 소재지 | 광주 서구 월드컵4강로28번길 43 3층 |
대표자 | 박종석 | 이메일 | robotmaking@naver.com | 홈페이지 |
자격명 | 조향디자인전문가 | 자격의 종류 | 등록민간자격 | ||
---|---|---|---|---|---|
등록번호 | 203-82-67756 | 자격발급기관 | 한국조향예술협회 | ||
총비용 (세부내역) |
총비용 : 10만원 | 환불규정 |
|
||
기관명 | 디자인퍼퓸 | 연락처 | 010-9078-9991 | 소재지 | 광주 북구 양산택지로 37번길51 |
대표자 | 김경훈 | 이메일 | kpaakorea@naver.com | 홈페이지 | www.조향학원.com |
누구나 배움을 함께 나누고 함께 성장하는 “서로배움 함께자람”
서로배움터
서로배움터는
기관이나 교수자 중심의 한정적인 평생학습 프로그램에서 벗어나 누구나 가르치고 학습할 수 있는 친근한 프로그램을 지향하며, 남녀노소 구분없이 학습 주제를 정해 함께 학습할 사람들과 배움터를 만들어 원하는 시간에 만나 학습하는 근거리 소규모 평생학습 지원 프로그램입니다.
서로배움터 운영
- 기 간 : 매년 4월 ~ 12월(상·하반기)
- 내 용 : 광산구 내 학습 공간이 확보된 어느 곳이든 배움터를 운영하여 배움터 당 30만원 이내 강사비 지원
- 2023년 50개 배움터 308명 참여
- 문 의 : 평생학습팀 ☎062-960-8284

프로그램명 | 운영기간 | 인원 | 프로그램명 | 운영기간 | 인원 |
---|---|---|---|---|---|
상반기 23개 배움터 | 144명 | 하반기 27개 배움터 | 164명 | ||
풋살 | 04.08~06.10 | 4명 | 나를찾아서떠나는여행 | 09.07~11.16 | 6명 |
한글교실 | 04.11~06.20 | 10명 | 미술치료 매체연구소 | 09.08~10.31 | 6명 |
통기타 | 04.18~06.20 | 5명 | 행복배움터 | 09.05~11.28 | 5명 |
힐링건강체조 | 04.10~05.15 | 5명 | 보드게임영상제작 | 09.05~12.15 | 5명 |
기타조아 | 05.03~07.05 | 5명 | 보드게임 | 09.05~12.15 | 6명 |
마크라메 | 04.18~06.27 | 5명 | 전래놀이 | 09.05~12.15 | 6명 |
POP시화 | 05.02~07.04 | 7명 | 악기학습 | 09.05~12.15 | 5명 |
페브릭페인팅 | 05.05~07.07 | 5명 | 볼링 | 09.05~12.15 | 5명 |
창의보드게임 | 04.15~07.01 | 6명 | 손뜨개 | 10.12~12.14 | 6명 |
힐링걷기체조 | 04.21~06.30. | 15명 | 누구나 재봉교실 | 09.26~11.23 | 4명 |
라인댄스 | 04.24~06.26. | 10명 | 퀼트와 자수 | 09.22~11.29 | 11명 |
바르게태권도 | 04.24~06.26. | 5명 | 수영 | 10.10~11.17 | 4명 |
하남이네노래교실 | 04.17~06.26 | 11명 | 우쿨렐레 | 10.06~12.08 | 4명 |
해늘 가야금 | 04.18~06.27 | 4명 | 칼림바 | 10.06~12.08 | 4명 |
화음을 내보자 | 04.22~07.01 | 7명 | 건강체조 | 10.06~11.30 | 8명 |
심쿵 시낭송 | 04.25~07.04 | 5명 | 원당산중국어교실 | 10.07~12.16. | 6명 |
문해교육 | 04.20~06.22 | 5명 | 나도사진작가가될수있다 | 10.24~11.21 | 11명 |
생활문해디지털 | 04.28~07.07 | 4명 | 방송댄스 | 10.23~12.18 | 6명 |
볼링 | 04.18~06.30 | 5명 | 토탈공예 | 10.13~12.13 | 9명 |
전래놀이 | 04.18~06.30 | 7명 | 한자 | 10.06~12.08 | 6명 |
오카리나 | 04.18~06.30 | 6명 | 쏭앤토크 | 10.08~12.11 | 6명 |
미술 | 04.19~06.30 | 4명 | 미술 | 10.14~12.16 | 4명 |
미술2 | 04.26~06.30 | 4명 | 연극놀이 | 10.07~11.05 | 6명 |
소행성그림책교육 | 10.07~11.05 | 6명 | |||
심쿵 마음이 위로 되는 시낭송 | 10.12~12.07 | 4명 | |||
바르게!태권도 | 10.09~12.07 | 4명 | |||
자화상그리기 | 10.09~11.30 | 11명 |
광산구 평생학습 현장 도우미
이음매니저 운영
광산구 평생학습 이음매니저는
평생학습 현장 곳곳을 누비며, 평생학습 프로그램을 만드는 기획자의 프로그램이 현장에서 어떻게 운영이 되고 구현되는지 확인하고 학습자들의 정확한 수요를 파악하여 향후 더 나은 프로그램이 만들어지도록 연결하는 평생학습 현장 활동가입니다.
광산구 평생학습 이음매니저 운영
- 기 간: 매년 3월 ~ 12월
- 활동내용: 평생학습포털 운영 지원 및 평생학습 프로그램 모니터링 등
- 평생학습 프로그램 운영 모니터링 및 개선사항 파악
- 만족도 조사, 참여 후기 등 학습자 피드백 취합
- 전산관리, 이음매니저 회의 등
- 문 의: 평생학습팀 ☎062-960-6992
분 야 | 내 용 | 파견 기관 | 활동횟수 |
---|---|---|---|
총 계 |
100여개 기관 |
120회 |
|
평생학습 |
(기관) 포털 기관 등록 안내, 시스템 이용 방법 안내 (회원) 평생학습포털 이용 홍보, 회원 가입 지원 (강사) 평생학습포털 강사 등록 안내, 시스템 이용 안내 (시스템) 포털 관련 민원사항 처리, 데이터 점검 등 |
광산구 내 평생교육기관 (행정학습센터, 행정복지센터, 복지관, 작은도서관 등) |
22회 |
평생학습 |
|
평생학습 프로그램 운영 기관 (동평생학습센터, 지도사 과정, 성인문해교육 등) |
88회 |
기타 |
|
10회 |
지역 시민들의 근거리 평생학습 실현! 마실살롱
동 평생학습센터 운영
우리동네 학습공간 ‘마실살롱’ 동 평생학습센터는
지역주민의 평생학습 접근성 향상을 위하여 작은도서관, 아파트, 학교 등의 자원을 공유하고,
주민주도적인 평생학습을 통해 배움과 재능 나눔을 실천하는 학습공간입니다.
동 마실살롱 평생학습매니저를 배치하여 지역주민의 평생학습 수요를 파악하여 특성에 맞는 교육대상별 특화 프로그램을 개발·운영하고,
학습동아리 운영 등 시민의 평생학습 활동 지원하도록 합니다.
동 평생학습센터 설치

o 추진방법 : 센터별 보조금 지원 운영, 동 평생학습센터 매니저 배치
o 사업대상 : 15명 이상 수용 및 교육기자재가 구비된 동행정복지센터, 기관․단체
o 내 용 : 동단위 평생학습센터 5개소 공모 선정, 역량강화교육, 광주인재평생교육진흥원 공모참여
- (역할)동 단위 주민주도 프로그램 기획 및 운영, 마을 자원(물적·인적)조사
- (체계)주민자치회와 연계(교육분과구성 등), 운영인력 활동비 지원
- (공간)동행정복지센터, 마을 유휴 학습공간 활용
o 문의 : 평생학습팀 ☎ 960-8285
동 평생학습센터 유형
번호 | 분 류 | 내 용 |
---|---|---|
1 | 마을교육 공동체형 |
‘마을이 아이를 키운다’는 정겨운 이야기를 실천하는 모델로, 학교, 학부모, 마을학교 등과의 협력 시스템 기반하에 마을의 아이들을 바르고 행복한 아이들로 성장할 수 있도록 사업과 프로그램을 기획하고 참여하는 모델 |
2 | 지역통합형 | 장애인, 이주여성, 다문화가정, 독거노인, 농촌주민 등 소외계층 거주지역 중심으로 주민간 상호작용과 통합을 중심으로 사업과 프로그램을 기획하고 참여하는 모델 |
3 | 지역성장 주도형 |
지역경제발전과 상생을 목표로 지역특화산업 및 자원기반의 사업과 프로그램을 기획하고 참여하는 모델 |
4 | 학습형 일자리형 |
학습을 통해 자격증 취득 및 기술 습득을 통해 지역에서 필요한 프로그램을 강의할 수 있는 프로그램을 기획하고 운영하는 모델 |
5 | 지속가능· 환경생태 공동체형 |
지역의 환경 차원의 지속가능성을 목표로 지역주민 전체가 환경생태 관련 사업과 프로그램을 기획하고 참여하는 모델 |
2025년 동 평생학습센터 현황
운영현황o 기 간 : 2025. 4.~11.(8개월간)
o 내 용 : 공모를 통한 행복학습센터 5개 지정· 운영보조금지원, 평생학습매니저 5명 배치
o 사업예산 : 59.8백만원
센터명 (특화모델 유형) |
대표자명 | 매니저명 | 특화 프로그램 | 전화번호 | 주소 |
---|---|---|---|---|---|
5개소 설치 | |||||
거점(구) | - 실무기획역량강화 워크숍, 관계자 회의 | ||||
1. 송정1동 (지역통합형) |
기영철 | 이건희 | - 유쾌한 참견! 마을 문제 해결 프로젝트 - 인문학 산책 - 지구를 살리는 비건식단만들기 - 우리동네 글로벌 VJ - 함께배워 하나되는 레인보우세상 |
062-943-8881 | 광산구 광산로 70(송정동), 송정다누리 1층 |
2. 도산동 (지역통합형) |
김대성 | 이미숙 | - 유쾌한 참견! 마을 문제 해결 프로젝트 - 사랑한땀, 나눔한땀(손뜨개) - 동네한바퀴, 원도산 힐링산책길 - 도루메 힐링공예(가죽공예, 목공예, 자개공예) - 도루메 손맛장인이 전하는 맛깔난 밑반찬 만들기 |
062-946-2047 | 광산구 도산로 12 |
3. 어룡동 (지역성장주도형, 지속가능·환경생태 공동체형) |
박원철 | 박미정 | - 유쾌한 참견! 마을 문제 해결 프로젝트 - AI를 활용한 어룡 홍보 크리에이터 양성과정 - 어룡을 빚는 삶의 기술 - 스토리를 엮는 어룡동 클린워크 - 생태·역사·문화 전문해설사 양성과정 |
062-941-7643 | 광산구 선운중앙로67번길 6 |
4. 월곡1동 (지역통합형) |
김대호 | 박연희 | - 유쾌한 참견! 마을 문제 해결 프로젝트 - 월곡1동 베트남어 교실 - 월곡1동 가죽공예 교실 - 월곡 테라피 - 아웃나라 사색 임식 문화 체험 |
062-531-6877 | 광산구 사암로 306 |
5. 신창동 (마을교육 공동체형) |
곽정수 | 김정미 | - 유쾌한 참견! 마을 문제 해결 프로젝트 - 창이가 들려주는 지구이야기 - 뚝딱뚝딱 목공체험 - 잠든마한유적을 깨워라! - 중년을 위한 인생비책 |
062-956-7775 | 광산구 목련로 382번안길 36-1 |
평생학습동아리는
다양한 분야의 정기적인 학습모임을 기반으로 심화학습, 토론, 재능기부 등 여러 활동을 통해 회원들의 역량강화를 유도하고 지역사회 교육문화 활성화 주도하는 평생학습 기초단체입니다.
- [주체] 일정한 인원(7인 이상)의
성인학습자들이 - [과정] 자발적으로
모임을 구성하고, - [형식] 정기적인 만남
(월2~4회)을 통해 - [목적] 정해진 주제에 대한
학습과 토론을 하며, - [비전] 공동의 관심사를 함께 생각하고
실천하는 공동체를 지향
평생학습동아리 등록


동아리 등록



관련 서류 제출



서류 심사



동아리 등록 승인
- 기간 : 연중 수시
- 대상 : 광산구에서 활동하고 있는 운영회원 7명 이상으로 구성된 학습동아리
※ 계모임, 정치, 종교 및 이익을 목적으로 조직된 단체는 등록 불가
※ 구성원 중 2/3 이상이 광산구 거주자여야 하며, 한 회원은 동아리 3개를 초과하여 중복가입할 수 없음 - 방법 : 홈페이지 접수 ※동아리 회원명단은 사인 후 원본 별도 제출
- 서류
- 등록신청서 및 소개서(홈페이지 ‘학습동아리 신청’란 작성 대체)
- 동아리 회칙(홈페이지 동아리 신청 시 붙임파일 첨부)
- 회원명단(회원 서명 후 원본 제출)* 담당자 이메일로 사본 우선 제출(gksdnf24@korea.kr)
평생학습동아리 탈퇴
※ 탈퇴 시, 등록현황에서 제외되나 동아리의 활동기록 보관
- 기간 : 연중 수시
- 방법 : 홈페이지 접수
평생학습동아리 지원
- 학습내용과 실천이 우수한 동아리 강사활동 지원
- 매년 초 공고를 통해 15개 내외 동아리 강사비, 재료비 등 학습 소요 비용 지원
- 평생학습동아리 역량강화 교육
- 평생학습동아리 재능나눔 지원
- 평생학습동아리 연합회, 분과 등 네트워크 지원
- 각종 평생학습 관련 정보 안내
- 문의 : 교육도서관과 평생학습팀(☎062-960-6992)
배움에는 끝이 없다!
성인문해교육
더 이상 키오스크 앞에서 작아지지 않는다!
우리나라는 높은 취학률에도 불구하고 성인 비문해자의 수는 200만명을 넘어가며 사회, 경제적인 요인으로 교육의 기회를 얻지 못한 비문해, 저학력 성인을 대상으로 문해교육을 지속해서 하고 있는데, 디지털 시대가 가속화되는 요즘은 생활밀착형 문해교육과 맞물려 그 필요성이 점점 높아지고 있습니다.
성인문해교육은
손에 있는 스마트폰에서 은행ATM 앞에서 등 학습자의 실제 삶과 맞닿아 있는 교육으로 꾸준한 수요와 함께 광산구 평생교육의 한 축을 담당하고 있습니다.
성인문해교육운영
o 기 간 : 매년 1월 ~ 12월o 교육기관 : 6개소 (직영4, 민간1, 경로당1)
- 직 영 : 더불어락 노인복지관, 광산구장애인복지관, 첨단종합사회복지관, 행복드림종합사회복지관
- 민 간 : 공모를 통한, 민간 문해기관 1개소(사랑의 배움터) 지원 운영
- 경 로 당 : 운남주공 1,2,3 단지
o 문 의 : 평생학습팀 ☎062-960-8283
o 2024년 학력인정 1개반, 생활문해교육 8개반, 찾아가는 문해교실 1개반 등 총 10개반 운영 107명의 학습자 배출
누구나 평등한 디지털 시대를 위한
신중년 디지털 평생교육
여러분은 휴대폰을 어떻게 사용하시나요?
뉴스나 신문을 통해 세상을 보던 시기에서 손안의 미디어를 통해 해마다 발전하는 세상을 경험하는 요즘, 손에 쥐어진 핸드폰이 누군가에겐 뉴미디어 창구지만 누군가에겐 그저 전화기에 불과합니다.
제조사는 좀 더 쉽게 좀 더 편하게를 강조하지만 그저 어렵기만 한 매뉴얼은 보기 싫고 휴대전화 속 작은 글씨는 아무리 키워도 야속하기만한 시기에 광산구가 나섰습니다. 누구나 평등한 디지털 미디어 경험을 할 수 있도록 소소한 핸드폰 사용법부터 키오스크 다루기, 영상제작, 그리고 누군가에게 나의 배움을 전달할 수 있는 지도사 과정 등, 배움의 시작은 경험이라는 전달을 통해 사용해보지 않은 기능에 한걸음 나아가면 세상이 좀 더 편하게 느껴집니다.
신중년 디지털 평생교육 운영
- 기 간 : 매년 1. ~ 12.- 장 소 : 관내 복지관, 마을복지관 등
- 대 상 : 40대 이상(신중년) 희망자
- 주요내용
➀ 대상자별 디지털 활용 수준에 따른 디지털 리터러시 교육(디지털·정보·금융 문해 등)
➁ 디지털 문해강사를 양성하여 강사 활동 연계
- 교육과정 : 6개 과정(기초 2, 심화 2, 지도사 과정 2)
- 문 의 : 평생학습팀 ☎062-960-8283
- 2024년 6개 과정 총 30개 반 운영 302명 참여
소외없이 누구나 누리는 평생교육
교육사각지대 지원
평생학습의 사각지대가 없는 그날까지 밝은 빛을 비추는!
2024년 광산구는 이주여성을 대상으로 세계가정식 요리강사 양성과정, 세계언어 강사 양성과정, 세계가정식 쿠킹클래스, 소통하며 배우는 원어민 세계언어, 나의 한국문화 적응기 5개 과정을 운영하며, 48명의 수료생을 배출해 냈습니다.
교육사각지대 지원
o 기 간 : 매년 4월 ~ 12월o 대 상 : 교육소외계층(이주여성)
o 내 용 : 학습자 특성에 맞춘 프로그램 운영을 통해 자존감 및 사회적응 능력을 향상시켜 사회구성원으로 성장 지원
o 문 의 : 평생학습팀 ☎062-960-6992
2024년 운영 현황:5개 과정, 1,131명 참여
과 정 명 | 내 용 | 교육일정 | 교육장소 | 인원(명) |
---|---|---|---|---|
5개 과정 | 1,131 | |||
세계 가정식 요리강사 양성과정 (기초/심화) |
다문화 이주여성을 음식 문화 공유를 통해 지역 내 문화 수용성 향상에 기여하는 세계 가정식 요리사로 양성 |
’24. 4. 26. ~ 8. 2. 09:30 ~ 12:30 (45시간) |
월곡1동 행정복지센터 3층 휴앤락&마을쿡, 야호센터 |
등록 15 수료 12 |
’24. 8. 30. ~ 12. 6. 09:30 ~ 12:30 (21차시/57시간) |
등록 10 수료 8 |
|||
세계 가정식 쿠킹클래스 (성인반/학생반) |
’24. 6. 25. ~ 10. 29. 10:00 ~ 12:00 (7차시/21시간) |
광산구 야호센터 | 70 | |
’24. 10. 23. ~ 12. 12. 차시별 2시간 (49차시/98시간) |
신청기관(유치원 1, 초등학교 3, 중학교 2) |
771 | ||
세계 언어강사 양성과정 (기초/심화) |
다문화 이주여성을 자국 언어 강사로 양성하여 전문성을 가진 사회의 일원으로 자리잡을 수 있도록 지원 |
’24. 4. 22. ~ 8. 5. 19:00 ~ 21:00 (15차시/30시간) |
광주여자대학교 어등관 105호 등 |
등록 20 수료 16 |
’24. 8. 31. ~ 11. 4. 18:30 ~ 21:30 (10차시/ 총30시간) |
광주여자대학교 어등관 105호 등 |
등록 15 수료 12 |
||
소통하며 배우는 원어민 세계언어(중국어반) |
이주여성들이 세계 언어 강사로서 자국 언어를 가르치며 이주배경 청소년과 선주민 학생들의 올바른 소통을 돕는 프로그램 |
‘24. 11. 8. ~ 12. 12. 차시별 2시간 (68차시/136시간) |
신청기관(초등학교 1, 지역아동센터 13) |
284 |
나의 한국문화 적응기 |
이주여성들이 선배 이주민으로서 다른 이주여성들과 이주배경 청소년들에게 자신들의 한국 생활기 및 적응 노하우를 전수하는 문화 공감 프로그램 |
‘24. 12. 9. ~ 12. 13. 19:00 ~ 21:00 (4차시/8시간) |
온라인 ZOOM | 60 |
장애인의 3대 권리(배우고 알, 일할, 누빌) 증진을 통한 삶의 질 향상
장애인 평생학습도시 지원
2024년 장애인 평생학습도시 운영 사업 계속 지원
※ 2023년 광산구 신규지정(‘23. 3. 10.) 이후, 운영결과 심사에 따라 최대 3년간 계속 지원
평생교육은 장애인에게 있어 학령기 이후 성인기 사회생활 적응과 삶의 질 향상에 밀접한 관계가 있습니다. 급격한 환경 변화에 능동적으로 적응할 수 있는 기회와 사회활동에 적극적으로 참여할 수 있는 기회를 평생교육을 통해 마련할 수 있기 때문입니다. 무엇보다 성인기 이후의 진로나 직업개발의 연장성에서 그 의미가 크기에 장애인 평생교육은 단순히 교육 평등권을 넘어 삶의 질을 담보하는데 필수적 요소로서 다루어 져야합니다.
광산구는 매년 장애인 평생학습 환경조성과 프로그램 확장을 위해 노력한 결과, 2024년에는 총 33개의 과정이 46개소의 학습장소에서 운영되었으며, 2,630명이 참여하였습니다.
장애인의 3대 권리란?
- (배우고 알권리) 장애유형별 적합한 교육 기회 제공과 장애인 스스로의 권리를 찾고 인식함으로써 지역사회의 일원으로서의 역할을 찾고 주체적인 삶을 살아갈 수 있도록 지원 (디지털 역량 향상, 장애 인식개선, 맞춤형 교육 지원 강화 등)
- (일할권리) 장애인의 사회참여활동 기회 확대 및 경제적인 자립을 할 수 있도록 다양한 직업 연계 프로그램 운영 (직업 연계 프로그램 운영 및 장애인&비장애인 교류)
- (누빌권리) 시설 거주 장애인 및 장애인 가정 등 생활권 근거리 교육장소로 직접 찾아가는 프로그램 운영을 통한 평생교육 접근성 향상 및 근거리 평생교육기관 확대 (장애인 평생교육기관을 확대, 이동 차량 지원 및 편의 증진 등)
→ (네트워크 구축) 지역의 공공·민간기관, 장애인복지시설, 평생교육기관 등과의 연계, 지원방안 모색을 통해 다양한 평생교육 운영 및 홍보, 예산 지원, 보조기기 대여 등 실제적인 서비스 지원이 필요 (네트워크 구축, 실태조사, 역량강화교육 등)
광산구 장애인 평생학습도시 운영
- 사업기간 : 2024년 2월 ~ 12월- 운영기관 : 46개소(광산구장애인복지관, 주간보호센터, 직업재활시설, 디딤돌 야학 등)
- 대 상 : 2,630명(장애인, 비장애인, 장애인 평생교육 관리자)
- 운영과정 : 33개(도전! AI 예술 & 키오스크 배움터 등)
- 주요내용 : 장애인의 3대 권리(배우고 알, 일할, 누빌)증진을 위한 평생교육 프로그램 운영 및 네트워크 구축
- 운영방법 : 복지관, 장애인 복지시설 등 기관·단체 협업 추진
뉴미디어와 디지털시대에 나에게 던지는 질문
광산아카데미 운영
상상력을 자극하는 배움의 장 “광산아카데미”
지식은 삶의 도구이자 세상을 이해하는 창입니다. 2024년 ‘광산아카데미’는 시민과 공직자들에게 새로운 시각을 제시하고, 상상력을 자극하는 강연을 제공하며 큰 호응을 얻었습니다. 5월부터 11월까지 이어진 총 6회의 강연에 1,437명의 청중이 참여하여 각 강연에서 깊이 있는 질문과 대화를 통해 삶과 사회에 대한 새로운 통찰을 얻는 시간을 가졌습니다. ‘광산아카데미’는 변화하는 시대 속에서 지혜와 상상력이 더욱 중요한 가치임을 강조하며, 참여자들에게 잊을 수 없는 경험과 배움의 시간을 선물했습니다.
광산아카데미 운영
- 기간/장소 : 2024년 5월 ~11월(총6회) / 광산문화예술회관 등
- 대 상 : 공직자 및 시민 등 300여명
- 주요내용 : 시민이 궁금증을 갖고 상상력을 자극하는 다양한 주제로 지역 대표인물 등 저명한 강사를 초청하여 강연 개최
- 문 의 : 평생학습팀 ☎062-960-8284
구분 | 일정 | 강사 | 주제 |
---|---|---|---|
1회 | 5월 16일 (목) | 이 창 동 | 오월 광주와 영화 박하사탕 |
2회 | 6월 20일 (목) | 정 지 아 | 역사가 된 사람들 ‘아버지의 해방일지’ |
3회 | 7월 18일 (목) | 김 용 배 | 마음을 담은 클래식 |
4회 | 9월 26일 (목) | 조 병 수 | 막과 비움 거칢 속의 세련됨, 세련됨 속의 무심함 |
5회 | 10월 17일 (목) | 이 형 연 | 100세 시대의 건강한 삶, 축복으로 가는 길 |
6회 | 11월 21일 (목) | 조 용 준 | 행복해지려면 도시를 바꿔라 |
- 문 의: 평생학습팀 ☎062-960-8284
- 담당부서
- 평생학습팀
- 최종 수정일
- 2020-12-25